git cherry-pick --abortcherry-pick 중에 적용된 모든 변경사항을 되돌리고, 원래 브랜치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해준다.충돌 해결시 사용
일부 파일만 이전 commit 내역으로 rollback 하고싶을 경우가 존재한다. Rever Commit의 경우에는 내가 원하는 파일이 아닌 Commit 한 내역 전체가 rollback 되기때문에 적합하지가 않다. 그럴경우 특정 파일만 이전 commit 내역으로 rollback 하기 위해서는, 1. 변경하고싶은 파일의 git log를 조회해 commit 번호를 확인한다. git log -- 파일 상대경로 그러면 여러개의 commit 번호가 아래와같이 조회되는데, rollback 시점의 commit 번호를 복사한다. 2. 조회한 commit 번호로 checkout 하여 특정 파일만 변경한다. git checkout commit번호 -- 파일 상대경로 3. 변경사항 확인 후, 스테이징 및 새 commit 등..
CTRL + SHIF + F 단축키를 이용해서 프로젝트 전체 파일 검색을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었는데, 어느순간 갑자기 검색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했다ㅠㅠㅠ 해결방법 File -> Invalidate Caches -> Invalidate and Restart 를 눌러 재시작하면 현상이 해결 된다~~
에러 현상 Eclipse에 Spring Tool Suite 관련 플러그인을 설치 후 프로젝트를 실행했을때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해결 방법 window -> Preferemces -> Java -> Editor -> Mark Occurrences -> Mark ocuurences of the selected element in the current file 체크 해제 하면 에러 메세지가 사라집니다. 끝~~
OpenSearch Dashboards는 OpenSearch 기반 검색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툴입니다. Discover 기능을 사용하여 운영중인 시스템에 대한 여러가지 Application Log를 검색 할 수 있고, 시각화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OpenSearch Dashboard 설치 후 대시보드 사이트에서 로그인을 진행해주세요. OpenSearch Dashboards Visualize & analyze 를 클릭해 접속해주세요. Application에 대한 Log를 검색할 예정이므로, Discover를 클릭해 접속해주세요. OpenSearch Dashboards 의 Discover 구성 화면입니다. ① 검색창에 쿼리를 입력할 수 있으며 필터 옵션을 사용하여 결과를 필터링하고, 시간 ..
작업 디렉토리로 이동현재 브랜치에 commit 내역 없이 하나의 commit 내역 이동git cherry-pick --no-commit git reset 현재 브랜치에 commit 내역 없이 여러개 commit 내역 이동 git cherry-pick --no-commit --no-apply ^..git reset 스테이징 영역으로 이동현재 브랜치에 commit 내역 없이 하나의 commit 내역 이동 git cherry-pick --no-commit 현재 브랜치에 commit 내역 없이 여러개 commit 내역 이동git cherry-pick --no-commit --no-apply ^.. commit 영역으로 이동현재 브랜치에 commit 내역 복사git cherry-pick
git repository를 생성 후 git clone을 수행하려고 할때 Git 유효한 소스 경로/url이 아닙니다 라고 나와 소스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위의 경우에는 관리자가 git 사용 권한을 부여하지 않았거나, 사용 권한을 부여했음에도 해당 계정에 persnalAcces Token이 존재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아래와 같이 개인 git 계정의 setting에 접속 후 하단의 DeveloperSetting에 들어가주세요. Persnal access tokens의 Token에 접속하여 새로운 토큰을 발행해주세요. 사용기한과 권한부여 등을 필요에 따라 설정하면 토큰 값이 생성됩니다. 해당 토근 값은 git 계정의 비번 역할을 대신해서 사용될 예정이므로 해당 값을 잘 보관해야됩니다...
오늘은 오랜만에 제 개인 github을 접속했습니다 저는 github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고 있었기때문에 로컬에 소스들도 많구... 동기화 안되어있는 소스들이 꽤 됩니다ㅠㅠ 그동안 관리가 전혀 안되고 있었죠.....T.T 이제라도 제대로 관리하고자 이상하게 만들었던 레파지토리를 삭제하려고 겸사겸사 포스팅을 올립니다 개인 github을 로그인 후 접속해주세요. Repository 탭을 눌러 삭제하고 싶은 레파지토리로 접속 해주세요~ 상단의 Settings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기본적으로 General 이 선택되어 있는데 스크롤을 쭉~~~ 내려서 하단의 Danger Zone 영역까지 내려주세요 Danger Zone영역 안에 있는 Delete this repository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한번더 삭제할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