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zon EKS 란?
쿠버네티스를 쉽게 실행 할 수 있는 관리형 서비스입니다.
AWS환경에서 Kubernetes 컨트롤 플레인 또는 노드를 직접 설치, 운영 및 유지할 필요가 없이 관리해주기때문에 쉽게 실행 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1. 클러스터 파일 생성하기
cd ~/environment
vi eks-demo-cluster_yh.yaml
apiVersion: eksctl.io/v1alpha5
kind: ClusterConfig
metadata:
name: eks-demo # 생성할 EKS 클러스터명
region: ${AWS_REGION} # 클러스터를 생성할 리전
version: "1.21"
vpc:
cidr: "192.168.0.0/16" # 클러스터에서 사용할 VPC의 CIDR
managedNodeGroups:
- name: node-group # 클러스터의 노드 그룹명
instanceType: m5.large # 클러스터 워커 노드의 인스턴스 타입
desiredCapacity: 3 # 클러스터 워커 노드의 갯수
volumeSize: 10 # 클러스터 워커 노드의 EBS 용량 (단위: GiB)
iam:
withAddonPolicies:
imageBuilder: true # Amazon ECR에 대한 권한 추가
# albIngress: true # albIngress에 대한 권한 추가
cloudWatch: true # cloudWatch에 대한 권한 추가
autoScaler: true # auto scaling에 대한 권한 추가
cloudWatch:
clusterLogging:
enableTypes: ["*"]
2. 클러스터 배포하기
eksctl create cluster -f eks-demo-cluster_yh.yaml
읭? 클러스터를 배포하기위해 실행을 했지만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07.gif)
구글링을 해본 결과, 파일 내용 중 탭으로 되어있는 부분이 있으면 안된다고 하네요ㅠㅠ...
스페이스바로 변경을 해줘야한다고 합니다.
또 에러가 발생했네요...ㅎ
왜 안되나 찾아보니 맨처음에 AWS IDE 생성했을 때 리전을 뭄바이로 설정해놓고 해당 설정으로 계속 등록했었네요....
ap-south1이 왜 대한민국 서울이라고 생각했을까요ㅠㅠㅠㅠ
리전값이 꼭 ap-northeast-2 인지 꼭!꼭! 확인해주세요...ㅎ
리전을 다시 서울로 변경하고 IDE를 생성 후 그동안 했던 과정을 반복하니 되었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03.gif)
그리고 VPC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설정을 등록해주세요!
VPC에 대한 개념은 아래의 블로그를 참고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AWS] 가장쉽게 VPC 개념잡기
가장쉽게 VPC 알아보기
medium.com
클러스터가 완전히 배포되는데까지 약 15분 ~ 20분 정도 소요됩니다.
배포가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확인해보기 위해서는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클러스터 워커 노드의 갯수를 3개로 설정했기때문에 get nodes할때 세개의 항목이 조회됩니다.
kubectl get nodes
/home/ec2-user/.kube/config 파일을 통해서도 확인 해보 실 수 있습니다.
구성된 아키텍처는 아래의 그림과 같습니다.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KS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 인그레스 컨트롤러 만들기 (0) | 2022.08.17 |
---|---|
[EKS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 콘솔 크레덴셜 추가하기 (0) | 2022.08.17 |
[EKS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 Amazon ECR에 이미지 올리기 (0) | 2022.08.16 |
[EKS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 도커 컨테이너 이미지 만들기 (0) | 2022.08.12 |
[EKS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 AWS Cloud9 환경 설정 셋팅 (0) | 2022.08.12 |